인천시, 전국 최초 '빈집 마을재생 사업' 추진

  • 입력 : 2019-11-19 16:12
  • 수정 : 2019-11-19 16:43
인천시 "빈 집을 동네 주민들의 쉼터이자 창업공간으로 변신시켜 원도심에 활력 불어넣을 것"

빈집 철거 후 조성된 마을공원(송림동)

[앵커] 최근들어 도시 정비사업 등에 진전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람이 살지않는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빈집을 활용한 마을재생 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습니다.

신종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7년 11월부터 지난 8월까지 인천시는 지역 내 빈집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도시 정비계획이 없거나 사업에 진전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빈집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더이상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에 빈집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한다는데 중점을 뒀습니다.

그 결과, 인천의 10개 군.구에 총 3천 976호의 빈집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인천시는 방치된 빈집을 효율적으로 정비.관리하기 위해 '빈집정비 가이드라인 및 지원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빈집정비계획과 빈집관리, 빈집활용이 주요 내용입니다.

이에 따라 올 해안에 군.구별 정비계획을 세우고 오는 2024년까지 약 165억원을 투입해 인천의 빈집정비사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빈집이 밀집된 지역에 대해선 구역을 지정해 정비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매년 관할구청의 자체 실태조사를 실시해 우선 철거나 출입패쇄 등 안전조치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정동석 인천시 주택녹지국장입니다. (녹취) "(빈집) 실태조사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서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이 운영되고, 신속하게 정비가 돼서 주민들이 쉼터나 창업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또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등이 함께 구축한 빈집정보은행에 빈집 소유자와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정보를 등록해 활용방안을 강구하는 '빈집 활용 플랫폼 선도사업'을 전국 최초로 내년부터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FM 경기방송 신종한입니다.

태그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