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직영체제 VS 공유경제 시장에 일임' 고민
[앵커] 고양시의 공공자전거, '고양 피프틴' 사업이 내년 5월을 끝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고양시가 새로운 형태의 이동 편의수단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고양시가 직접 운영을 할 지 아니면 전적으로 공유경제 시장에 맡길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문영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속칭 '세금먹는 하마'로 불리는 '고양 피프틴'
2010년 민간투자사업으로 시작했지만, 만성 적자에 시달리면서 고양시가 올해까지 187억 여 원의 운영보조금을 쏟아 부었습니다.
계약에 따라 내년에도 30 여 억원의 혈세를 투입해야 합니다.
내년 5월이면 고양시와의 협약기간이 끝나고, 그동안 에코바이크 주식회사가 운영하던 시설들은 모두 고양시로 귀속됩니다.
고양시는 공공자전거든 공유자전거든 근거리 이동수단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기본 방침을 세웠습니다.
'만성적자'와 '관리소홀'이라는 비난은 받아 왔지만 긍정적인 평가도 있기 때문입니다.
회비를 내고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만 4천 명이 넘는다는 점도 쉽게 사업을 접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송요찬 고양시 도로교통과장입니다.
(인터뷰)"저희는 전기자전거나 이런 쪽으로 바꿔보는 것도 좋지 않겠느냐...지금 트랜드도 그렇고요. 방향을 그렇게 잡아가는 것은 사실인데요, 아직까지 최종적으로 결정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자전거는 갑니다."
고민은 시가 직접 운영할 지 아니면 철저하게 공유경제 시장에 맡길지 여부입니다.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투자와 적절한 관리와 운영을 위해서는 시가 직접 운영해야 한다는 입장.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주민 건강과 복지증진의 차원에서 접근해야한다는 주장이 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반면 이동수단의 하나이지만, 운행차량 감소 등 차량 대체 효과가 없으니 시장경제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이용 요금을 현실화하고, 사용자들이 부담하도록 해야한다는 주장이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고양시는 어떤 방법이 나은지 조사 용역을 의뢰했습니다.
다음달 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양시는 이 결과를 토대로 내년 2월 안에 최종 결정을 내릴 계획입니다.
KFM 경기방송 문영호입니다.
저작권자 ⓒ 경기방송(www.kfm.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