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청화 안료 사용의 귀중한 정보 제공
경기도는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관장 김성환)이 소장한 ‘백자청화 성화3년명 황수신 묘지(白磁靑華 成化三年銘 黃守身 墓誌)’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58호로 지정했습니다.
황수신(黃守身, 1407-1467)은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황희(黃喜, 1363-1452)의 아들로, 1466년 좌의정에 오르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라 장수황씨가 2대에 걸친 재상 가문으로 명성을 얻게 한 인물입니다.
‘황수신 묘지’는 2012년 9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황수신의 묘역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수습된 것을 장수황씨 열성공파종회가 같은 해 11월 경기도박물관에 기증한 것입니다. 모두 4장으로 지문(誌文)은 당시 뛰어난 문장가로 잘 알려진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썼습니다.
황수신 묘지는 조선 후기에는 볼 수 없는 규모가 큰 직사각형(세로38.9×가로28.6cm)이라는 희소성과 조선 전기 백자에 청화로 글씨를 쓴 예가 매우 귀한 가운데 현전하는 청화백자 묘지로는 두 번째 편년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평가됐습니다.
특히 지문의 내용에 그의 품성ㆍ행적 이외에 특별히 환구단 설치 및 제도 정비 등 조선 전기 제천의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과 '성화삼년成化三年(1467년)‘이라는 제작연대가 분명히 기록돼 있다는 점 등 역시 지정 가치로 인정됐습니다.
KFM 경기방송 = 이창문 기자
수도권의 살아있는 뉴스 경기방송 뉴스 FM99.9MHz
저작권자 ⓒ 경기방송(www.kfm.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경기방송(www.kfm.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