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의정부 소각장 이전 반대 성명서 발표

  • 입력 : 2019-07-16 14:45
  • 수정 : 2019-07-16 17:43
박윤국 시장, "국립수목원 함께 보존해야"

[앵커] 의정부시가 자원회수시설, 소각장의 이전을 앞두고 이전 지역과 인근 지자체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포천시가 공식적인 성명을 내고 반대에 나섰습니다.

전면 재검토하지 않으면 국민 서명운동은 물론 장외투쟁을 벌이겠다는 방침인데요.

지자체 간 갈등이 예상됩니다.

보도에 최일 기잡니다.

[리포트] 박윤국 포천시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문화유산인 국립수목원을 의정부시는 함께 보존해야 한다”며 “의정부시는 밀어붙이기식 자원회수시설 건립을 철회하고 재검토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박 시장은 “의정부시는 2010년 유네스코에서 숲의 가치를 인정하고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인 국립수목원 접경지역인 5㎞ 반경에 자원회수시설을 추진하고 있어 포천시민과 인근 지자체 주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며 “폐기물 소각장으로부터 인체에 가장 해로운 1급 발암물질 다이옥신 배출과 유해물질인 미세먼지로 인해 인접 주민들의 건강에 피해를 주고 주민의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박 시장은 “의정부시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국립수목원의 환경파괴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어 우리 시는 깊은 유감”이라며 “의정부시는 자일동으로 자원회수시설 이전 건립을 철회하고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윤국 포천시장이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포천시는 이 같은 요구가 이뤄지지 않으면 국내외적으로 세계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해 시민과 함께 대대적인 국민 서명운동에 돌입하고 장외투쟁을 벌이겠다는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 8일 진행된 ‘의정부시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공청회’에서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소각장과 광릉숲의 거리는 4.96㎞ 떨어져 있다” 며 “광릉숲 생물권 보전 핵심, 완충, 전이 지역 중 전이 지역에서도 몇백m가 떨어진 곳으로 소각장으로 인한 우려는 있지만 피해 정황은 없을 것”이라고 답변한 바 있습니다.

한편, 의정부시 자원회수시설은 기존 장암동 소각장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아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민간투자 방식(BTO)으로 1일 220t 규모 스토커방식의 소각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FM 경기방송 최일입니다.

태그
2025.07.01